[굿네이버스 GoodAction 생명존중교육 및 자살예방 캠페인] 나와 우리, 체크인(CHECK-IN) (30분 Ver.)🙆‍♀️🙆‍♂️

00:30:40
https://www.youtube.com/watch?v=-rahkKXBMeM

Résumé

TLDR이 영상은 한국의 청소년 자살 문제를 다루며, 자살이 청소년 사망 원인 1위임을 강조한다. 청소년의 자살 원인은 사회적 고립, 과도한 경쟁, 그리고 자신의 고통을 표현하지 못하는 환경으로 분석된다. 청소년들은 극심한 스트레스와 우울증을 경험하며, 이로 인해 극단적인 선택을 고민하게 된다. 영상은 또한 생명과 존재의 소중함을 강조하며, 자살 예방을 위한 다양한 이해와 지지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A retenir

  • 💔 청소년 자살 시도율 2.6%
  • 📊 하루 평균 35명이 자살
  • 🧑‍🤝‍🧑 사회적 고립의 위험
  • 🏫 과도한 경쟁과 압박감
  • 😶 고통을 표현하지 못하는 환경
  • 🤝 이해와 지원의 필요성
  • 🌱 생명의 소중함
  • ✊ 나를 아끼는 것이 중요함
  • 💬 힘든 일은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
  • ❤️ 긍정적인 연결의 중요성

Chronologie

  • 00:00:00 - 00:05:00

    스스로 목숨을 끊는 청소년의 문제는 심각하다. 한국 청소년의 자살 시도율이 2.6%에 달하고, 청소년 사망 원인 1위가 자살이라는 통계가 있다. 이는 개인의 불행을 넘어서 사회적 문제로 여겨져야 한다.

  • 00:05:00 - 00:10:00

    인간의 생명 탄생과 성장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모든 생명은 특별하고 유일한 존재임을 강조한다. 이 과정에서 학습과 경험이 쌓이며 삶의 의미를 찾게 된다.

  • 00:10:00 - 00:15:00

    인간의 삶은 태어나고, 살아가고, 죽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이 자연스러운 흐름을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으로 끊고 있다.

  • 00:15:00 - 00:20:00

    대한민국에서 자살이 주요 사망 원인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사회적 고립, 과도한 경쟁, 고통의 비밀 등 여러 원인이 청소년 자살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이들이 외롭고 무가치하다고 느끼고 있다.

  • 00:20:00 - 00:25:00

    무기력과 고립, 그리고 심리적 압박감은 자살을 고민하는 청소년에게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 고통으로 이어진다. 이들은 대부분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으며, 도움을 청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 00:25:00 - 00:30:40

    결국, 생명의 소중함을 깨닫고,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서는 서로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따뜻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힘든 상황에서 조금 더 많은 이해와 사랑을 주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Afficher plus

Carte mentale

Vidéo Q&R

  • 대한민국 하루 평균 자살하는 청소년 수는 얼마인가요?

    하루 평균 35명이 스스로 생을 마감합니다.

  • 청소년 자살의 주된 원인은 무엇인가요?

    주된 원인은 사회적 고립, 과도한 경쟁과 압박, 고통을 말하지 못하는 환경입니다.

  • 청소년 자살 시도의 비율은 얼마인가요?

    우리나라 청소년 자살 시도율은 2.6%입니다.

  • 자살을 고민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의지가 아닌, 신체적이고 정신적인 복합적인 지원입니다.

Voir plus de résumés vidéo

Accédez instantanément à des résumés vidéo gratuits sur YouTube grâce à l'IA !
Sous-titres
ko
Défilement automatique:
  • 00:00:06
    [음악]
  • 00:00:13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이 40분의
  • 00:00:15
    한명 볼이 된다고 합니다 박군은 1년
  • 00:00:17
    전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했습니다
  • 00:00:19
    우리나라 청소년 자살 시도율은
  • 00:00:21
    2.6% 있니다 그리고 청소년
  • 00:00:24
    사망원인 이위에 해당합니다 죽고
  • 00:00:26
    싶어서 죽는 건 아 살은 개인의
  • 00:00:28
    불행을 넘어 안타까운 소식입니다
  • 00:00:30
    청소년 사망 원인 1위는
  • 00:00:32
    2011년부터 자살이 공부 스트레스를
  • 00:00:34
    호소하는 내용에 유들을 남겼습니다
  • 00:00:36
    2009년 이후 감소했지만 대한민국의
  • 00:00:39
    부끄러운 현 성소년 자살이 증가하고
  • 00:00:41
    있는 주 10대와 20대 30대에서는
  • 00:00:44
    자살이 사망원인이 스스을 마감하는
  • 00:00:49
    [음악]
  • 00:01:05
    축합니다
  • 00:01:08
    축합니다 사랑하는
  • 00:01:12
    축하합니다
  • 00:01:14
    축하합니다
  • 00:01:18
    [음악]
  • 00:01:22
    사랑 방금 본 영상에는 점이 있죠
  • 00:01:26
    태어난 날을는 시생
  • 00:01:30
    이 단어는 새로 태어난 생명의 첫
  • 00:01:33
    번째 날을 의미하죠 하나 둘
  • 00:01:35
    [음악]
  • 00:01:42
    셋 누구든 무엇이든 세상의 모든
  • 00:01:45
    생명은 태어납니다
  • 00:01:47
    심지어 아주 작은 씨앗 도요 씨앗은
  • 00:01:51
    땅속깊이 잠들어 있다가 햇빛과 물
  • 00:01:54
    그리고 시간이 주어지면 깨어나 작은
  • 00:01:57
    새싹이 되고 어린 나무로 자라고
  • 00:02:00
    그다음에는 커다란 나무로
  • 00:02:03
    성합니다 그리고 동물도 태어납니다
  • 00:02:06
    새끼 고양이는 동글동글 귀엽고
  • 00:02:09
    사랑스러운 모습으로
  • 00:02:11
    태어나죠 그러다 시간이지나 성묘가
  • 00:02:15
    됩니다음 그래도 귀여운 건
  • 00:02:17
    여전하네요 지금까지 영상을 보니까
  • 00:02:20
    무엇을 말하려는지 알 수
  • 00:02:23
    [음악]
  • 00:02:24
    있나요 탄생 신비함 생명
  • 00:02:29
    네 맞습니다 그렇다면
  • 00:02:32
    인간은 인간도 물론 태어납니다
  • 00:02:35
    누군가의 자녀로 누군가의 형제 자매로
  • 00:02:39
    그렇게 세상에 발을
  • 00:02:41
    [음악]
  • 00:02:43
    딛지 우리 모두의 생명은 어느 순간
  • 00:02:47
    시작되었습니다 아마 시작은 이랬을
  • 00:02:49
    거예요 작은 존재로 세상의 첫발을
  • 00:02:53
    내드렸습니다 그 순간부터 여러분은
  • 00:02:56
    특별한 존재 세상에 단 하나뿐인
  • 00:02:59
    존재였습니다
  • 00:03:00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많은
  • 00:03:03
    것을 배우기
  • 00:03:04
    시작했죠 걸음을 떼던 순간
  • 00:03:08
    기억나나요 아니요 안나요 절대 안
  • 00:03:11
    기억이 안 나죠
  • 00:03:14
    당연히 말을 배우고 숟가락 잡는 법도
  • 00:03:18
    배우고 글을 배우고 놀이를 배우고
  • 00:03:21
    그리고 지금 여러분은 그때보다 훨씬
  • 00:03:24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습니다
  • 00:03:26
    학교에서 친구들과 함께 또는 혼자서요
  • 00:03:30
    지금까지 살아왔고 앞으로 어떤
  • 00:03:33
    모습으로 살아가게 될
  • 00:03:36
    겁니다 태연하고 살아가는 것
  • 00:03:39
    자연스러운
  • 00:03:41
    모습이죠
  • 00:03:43
    자연스러움음 편한 거 끊기지 않고
  • 00:03:48
    뭔가 자신이 가장 편한 상태 뭔가
  • 00:03:51
    생긴 그대로 그냥 태어는 그대 그게
  • 00:03:55
    [음악]
  • 00:03:58
    다지 에는 한 가지가 더
  • 00:04:05
    있습니다 죽음입니다
  • 00:04:12
    죽음 나이 들고 죽고 그러면은 그
  • 00:04:16
    어쩔 수 없이 다 모든 사람이 겪게
  • 00:04:17
    되는 거니까 자연스러운 거 같아요
  • 00:04:20
    인간은 태어나고 살아가고 그리고
  • 00:04:22
    떠나는 과정을 겪게 됩니다 누구나
  • 00:04:25
    태어나면서 살아가며 크고 작은
  • 00:04:27
    이야기들을 만들어 가죠
  • 00:04:30
    그리고 결국 사라온 시간을 정리하며
  • 00:04:33
    마지막 순간을 맞이하는 것이 모든
  • 00:04:36
    것은 인간으로서 너무나 자연스러운
  • 00:04:40
    일입니다 삶을 강물에 비유해
  • 00:04:43
    볼까요 흐르면서 만나는 다양한 풍경들
  • 00:04:46
    비바람이 치는 날도 있고 맑은 햇살이
  • 00:04:49
    내리 째는 날도 있고 때로는 느리게
  • 00:04:53
    때로는 거칠게 흘러갑니다
  • 00:04:56
    자연스러운가요 자연스럽죠 삶은 이런
  • 00:05:00
    자연스러움의
  • 00:05:01
    연속입니다 지울지도 모르겠지만
  • 00:05:04
    미안해요 한 번만 더 말해 볼게요
  • 00:05:06
    모든 인간은 태어나고 살아가고
  • 00:05:11
    죽습니다 그런데이 자연스러운 흐름을
  • 00:05:15
    스스로 끊어 버리는 일이
  • 00:05:18
    있습니다 그건 바로 자살입니다
  • 00:05:29
    [음악]
  • 00:05:31
    혹시 여러분은 대한민국에서 하루에 몇
  • 00:05:34
    명이나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알고
  • 00:05:38
    [음악]
  • 00:05:39
    있나요
  • 00:05:40
    [음악]
  • 00:05:44
    아니요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 00:05:47
    하루 평균
  • 00:05:49
    35명 한 시간에 한명 이상이 스스로
  • 00:05:53
    목숨을 끊는다고
  • 00:05:57
    합니다 한 시간에 한 명이
  • 00:06:00
    그냥 좀
  • 00:06:02
    놀라고 좀 슬프고 왜 그렇게 많이
  • 00:06:05
    죽었나 싶기도
  • 00:06:09
    해요 자살은 모든 연령대에서 주요
  • 00:06:13
    사망 원인으로
  • 00:06:15
    꼽힙니다 데이터로 보이는이 숫자는
  • 00:06:17
    각각의 삶과 이야기를 가진
  • 00:06:21
    사람들이었습니다 이런 질문이 떠오를
  • 00:06:23
    수가 있습니다 왜 자살을 했을까 어떤
  • 00:06:27
    상에 처 있기에 자생
  • 00:06:32
    되었을 첫 번째는 사회적 고립입니다
  • 00:06:37
    다른 사람들과 접촉할 기회가 없잖아요
  • 00:06:41
    또 자신이 불행하다고 느낄
  • 00:06:44
    거고음 외로움 무서움 같은 걸 느낄
  • 00:06:48
    것 같아 사람은 누구나 누군가와
  • 00:06:51
    연결되고 싶은 본능을 가지고 있어요
  • 00:06:54
    하지만 이런 연결이 끊어지면 외로움과
  • 00:06:58
    무가치함을 느낄 수 있
  • 00:06:59
    [음악]
  • 00:07:03
    두 번째는 과도한 경쟁과 압박입니다
  • 00:07:07
    조금 열 있는 거 같아요 그냥 아
  • 00:07:11
    학원 끊고 싶다 그만 다니고 싶다 뭐
  • 00:07:15
    이런 말 많이 하는 편이죠 가치 좀
  • 00:07:18
    하자마자 그 친구는
  • 00:07:20
    울었고 또 학교 나가기 싫다면서 마한
  • 00:07:24
    보여야 되잖아
  • 00:07:26
    [음악]
  • 00:07:28
    학교가면 성공을 중요시 하다 보니
  • 00:07:31
    때로 실패를 용납하지 않는 분위기를
  • 00:07:33
    만듭니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 00:07:36
    무기력감과 자존감 저하를
  • 00:07:41
    겪습니다 세 번째는 고통을 말하지
  • 00:07:44
    못하는
  • 00:07:46
    환경입니다 고통을 일단 얘기를
  • 00:07:48
    못한다는 거는 예를 들어 제가 어느
  • 00:07:50
    한 고통을 얘기했을 때 그 사람이
  • 00:07:53
    위로를 해줄 수도 있 어떻게 보면은
  • 00:07:54
    그건네 잘못이라고 비방을 할 수도
  • 00:07:56
    있는 거잖아요 그렇다 보니까 사람들이
  • 00:07:58
    자신의 고통을 얘기를 해도 다네
  • 00:08:01
    잘못이다 얘기를 할 수 있을 것
  • 00:08:03
    같아서 그게 두려워서 얘기 안 하는
  • 00:08:05
  • 00:08:06
    아닐까요네 두려움 때문에 혹은
  • 00:08:09
    상대방에게 부담이 될까 봐 아니면
  • 00:08:12
    내가 비난을 받을까 봐 자신의
  • 00:08:15
    어려움을 속으로만 사귀는
  • 00:08:19
    경우입니다 그렇다면 그런 상황 속에서
  • 00:08:22
    그들은 어떤 감정을 느끼고
  • 00:08:27
    있을까요 아
  • 00:08:30
    속상한 느낌
  • 00:08:33
    슬프다
  • 00:08:35
    절망감
  • 00:08:36
    절망 우울감 같은 것도 갖고 있는 거
  • 00:08:42
    같아요 자살을 고민하는 사람들이
  • 00:08:44
    느끼는 감정 외로움 무가치함 그리고
  • 00:08:48
    깊은 절망감 있니다 마치 자신이
  • 00:08:51
    감옥에 갇힌 것처럼 출구가 보이지
  • 00:08:54
    않는 터널 안에 있는 것처럼 해결할
  • 00:08:57
    수 없는 답답함을 느낀다고
  • 00:09:03
    합니다이 과정에서 흔히 발견되는 것
  • 00:09:05
    바로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과
  • 00:09:08
    스트레스입니다
  • 00:09:09
    한국의 경우 자살을 시도하는 사람들의
  • 00:09:12
    약 70% 이상이 극심한 스트레스를
  • 00:09:15
    겪고
  • 00:09:16
    25.5% 우울증을 겪었다는 연구
  • 00:09:18
    결과가 있습니다 심리적인 압박과
  • 00:09:21
    고통은 감정을 마비시키고 무기력하게
  • 00:09:24
    만들며 소중했던 것들조차 의미가
  • 00:09:27
    사라지게
  • 00:09:28
    만듭니다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 00:09:31
    단순한 의지 이상의 것이 필요합니다
  • 00:09:34
    그들의 상태는 약한 마음의 문제가
  • 00:09:37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변화가 모두
  • 00:09:40
    얽혀 있는 복합적인 문제이기
  • 00:09:47
    때문입니다 인간의 몸 몸은 힘들면
  • 00:09:51
    쉬라는 신호를 보내고 배고프면
  • 00:09:54
    먹으라는 경고를 줍니다 기쁠 땐 웃고
  • 00:09:56
    화가 나면 소리를 지르죠이든 과정은
  • 00:10:00
    우리 몸 안에서 끊임없이 일어나는
  • 00:10:02
    원인과 결과의 반응입니다 우리는
  • 00:10:05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 방법을 찾아
  • 00:10:08
    행동합니다 느끼는 감정과 행동 또한
  • 00:10:11
    뇌의 작용입니다
  • 00:10:14
    여러분은 지금 어떤 생각을 가지고
  • 00:10:18
    있나요 저는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게
  • 00:10:21
    시험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제일 큰
  • 00:10:23
    거에는 성적 었어요 제일 큰 거
  • 00:10:26
    친구관계 가족
  • 00:10:29
    [음악]
  • 00:10:32
    자살을 생각하거나 시도하는 사람들의
  • 00:10:35
    뇌는 어떤
  • 00:10:37
    상태일까요 아픔 나만 힘들어
  • 00:10:40
    죄책감이라는 불안 뭐
  • 00:10:44
    자살이라
  • 00:10:46
    그만할래 제일 작은게
  • 00:10:50
    나네 조금 어렵게 들릴 수 있지만
  • 00:10:53
    자살과 관련된 뇌의 상태는 과학적으로
  • 00:10:57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습니다
  • 00:11:00
    우리 뇌는 두 가지 중요한 역할을
  • 00:11:02
    합니다 전두엽 판단 의사결정 충동
  • 00:11:06
    조절
  • 00:11:07
    담당 편도체 공포 분노 불안 같은
  • 00:11:12
    감정처리 문제는이 균형이 깨질 때
  • 00:11:16
    발생합니다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들은
  • 00:11:18
    전 기능이 저하되고 편도체가 과도하게
  • 00:11:21
    활성화되어 감정이 이성을
  • 00:11:25
    압도합니다이 과정에서 스트레스 대응력
  • 00:11:30
    과 도체 연이 해 정절이 어려워집니다
  • 00:11:35
    이건 단순한 마음의 문제가 아닙니다
  • 00:11:39
    몸이 보내는 신호 즉 치료가 필요한
  • 00:11:43
    상태입니다 특히 청소년기는 전이
  • 00:11:46
    미성숙한 식이라 감정적으로 예민하고
  • 00:11:49
    충동적인 반응이 더 쉽게
  • 00:11:52
    [음악]
  • 00:11:54
    나타납니다는이 시를 사춘기라
  • 00:11:58
    부중 어떤 병이라고화된 병이라고도
  • 00:12:05
    말합니다 어른들한테 반항도 하고 혼자
  • 00:12:08
    방에 틀어 박히기 하고 말도 잘 안
  • 00:12:11
    통하는 그 식이라는 이미지가 떠오르죠
  • 00:12:13
    그리고 종종 이렇게
  • 00:12:16
    말합니다 사기니까 다 그래 그나이땐
  • 00:12:20
    원래 그렇잖아 혹은 아이고 중병
  • 00:12:24
    왔구나 물론 이런 말들이 린 건
  • 00:12:28
    아닙니다 기는 실제로 감정적으로
  • 00:12:30
    복잡한
  • 00:12:32
    시기니까요 다만 우리가 놓치고 있는
  • 00:12:35
    중요한 점이 있습니다 바로이 모든
  • 00:12:38
    것들이 청소년기 때 생기는 자연스러운
  • 00:12:41
    현상이라는
  • 00:12:42
    거예요 어려운 일이 생기면 당연히
  • 00:12:45
    힘들죠 고민이 이어지면서 해결 방법을
  • 00:12:47
    찾으려고 하고요 보통은 시간이 지나면
  • 00:12:50
    괜찮아지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성적이
  • 00:12:53
    안 좋거나 잘할 수 있을지 고민할
  • 00:12:55
    때처럼요 하지만 심각한 경우엔 복이
  • 00:13:00
    무기력과 고립만 커집니다 방치되면
  • 00:13:04
    만약에 방치된다면 부정적인 결과를
  • 00:13:07
    리할 수도
  • 00:13:09
    [음악]
  • 00:13:13
    있습니다
  • 00:13:15
    [음악]
  • 00:13:17
    10만
  • 00:13:20
    7.91
  • 00:13:24
    2 10만 명당 7.91
  • 00:13:29
    2022년 청소년이 스스로 생을
  • 00:13:32
    마감한
  • 00:13:33
    통계입니다 한해에 두 개 반에
  • 00:13:36
    해당하는 교실이 사라졌다는 뜻이기도
  • 00:13:41
    합니다
  • 00:13:43
    헐 반두 개라고 했을 때 거의 70명
  • 00:13:48
    웃도는 거잖아요 그 두 반을 채운다는
  • 00:13:52
    숫자가 생각보다 큰 거 같아요 맨
  • 00:13:54
    처음에 2라고 들었을 때 되게 적은
  • 00:13:56
    숙자 아닌가 했는데 개 반 상당히
  • 00:13:59
    많은 사람이 스스로 목숨을 끊고 있는
  • 00:14:02
  • 00:14:03
    같아서 한국의 10대 청소년 사망원인
  • 00:14:07
    1위
  • 00:14:09
    자살 한국의 청소년들은 어떤 삶을
  • 00:14:12
    살고 있는
  • 00:14:14
    걸까요 학업 스트레스 가정내 갈등
  • 00:14:18
    주변에 높은 기대 원활하지 못한
  • 00:14:21
    교우관계 등 시험 성적이 기대에
  • 00:14:23
    미치지 못했을 때 실패감과 자존감의
  • 00:14:27
    하락을
  • 00:14:28
    느낍니다 님과 건강하지 못한 관계는
  • 00:14:31
    불만과 불안을 가져옵니다 그리고
  • 00:14:33
    감당하기 벅찬 높은 기대와 압박감은
  • 00:14:36
    짐이 되죠 학교 폭력 친구 관계의
  • 00:14:40
    갈등 심지어는 사이버
  • 00:14:43
    불린지이 모든 것이 청소년들을 외롭게
  • 00:14:47
    만들고
  • 00:14:50
    있습니다 불안하게 느끼는 거요
  • 00:14:53
    아무래도 고등학교
  • 00:14:56
    입시 그죠 애들이랑
  • 00:14:59
    차이고 차이도 나고 해보다 하다
  • 00:15:01
    보니까 수학도
  • 00:15:04
    완전 성적이 말이 아니라 가지고 은지
  • 00:15:08
    모르게 엄청 답답하고 뭔가 내
  • 00:15:13
    자신한테 뭔가 좀 뭔가 많이 압박을
  • 00:15:15
    주는 거 같아요 그냥 일단 엄청
  • 00:15:18
    무기력해지고 힘이
  • 00:15:20
    없고 약간 혼자 있게 되는 거 같아
  • 00:15:23
    혼자 생각을 좀 많이 하는 거
  • 00:15:26
    같아요 앞서 우리는 과도한 스트레스와
  • 00:15:30
    극단적 상황들이 끼치는 영향에 대해
  • 00:15:33
    들었습니다 정신적으로 건강한 상태라면
  • 00:15:36
    힘든 상황에서도 해결 방법을
  • 00:15:39
    찾고이를 실행에 옮길 힘을 가질 수
  • 00:15:41
    있습니다 하지만 지쳐 있는 상태라면
  • 00:15:45
    어떨까요 상황에 압도되어 벗어날
  • 00:15:48
    힘조차 없다고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 00:15:50
    점차 우울증에 빠지고 생각의 폭이
  • 00:15:54
    좁아지며 정상적인 판단이 어려워집니다
  • 00:15:59
    앞서 말했듯 우리의 몸은 원인과
  • 00:16:01
    결과가 반복됩니다
  • 00:16:04
    힘들고 괴롭고 지친 상황에 놓였다면
  • 00:16:07
    분명 어떤 모습이 드러날 수
  • 00:16:10
    있습니다 살기 위해 보여지는 신호는
  • 00:16:13
    어떤
  • 00:16:14
    모습일까요 어떤
  • 00:16:16
    소리일까요 우리는 그 신호를 알 수
  • 00:16:19
    있을까요
  • 00:16:29
    키티를 제가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로
  • 00:16:32
    가고 키티로
  • 00:16:34
    했어요 저 옹스 이였습니다 제가 요새
  • 00:16:38
    빠진 게임에 나오는 캐릭터들이 그렇게
  • 00:16:42
    옹씨 옹씨 걸리고 다녀서 되
  • 00:16:47
    귀여워서
  • 00:16:49
    귀찮은이었습니다 아 그냥 뭐든지
  • 00:16:53
    다하기
  • 00:16:55
    귀찮아서 레오파드 개 코요 친구들이
  • 00:17:00
    레오파드고 그 웃는 짤리 있어요
  • 00:17:02
    하나가 그거 눈보고 저 눈 웃는 거랑
  • 00:17:09
    비슷하다고 고양이요 그냥 고양이라
  • 00:17:12
    하긴 좀 딱딱해 갖고 고양이라
  • 00:17:14
    고양이로
  • 00:17:16
    바꿨어요 아 저 오아요 다른 오프
  • 00:17:19
    채팅방에서도 쓰는
  • 00:17:22
    이름이라 그 리빅 그냥 좋아하는 장소
  • 00:17:25
    이름이
  • 00:17:27
    가지고 저 거북이 이였어요 어 아
  • 00:17:30
    뭐로 할지 그냥
  • 00:17:32
    정하다가 동물 중에 해야겠다 했는데
  • 00:17:36
    귀여운게 거북인 거 같아서
  • 00:18:04
    그 아무도 내 얘기를 들어 주지
  • 00:18:06
    않아까지는 괜찮았는데 다 끝내고
  • 00:18:09
    싶어라고 하니까 진짜 다 포기한 거
  • 00:18:11
    같은 느낌이 들어서
  • 00:18:13
    이거 만약에 걔한테는 제가 없으면
  • 00:18:17
    아예 세상이 없는
  • 00:18:19
    거니까 그게 더 위험하다고
  • 00:18:22
    생각했어요 일단 다 끝내고 싶어라는
  • 00:18:25
    말 자체가
  • 00:18:29
    뭔가 벼랑 끝에서 간당간당서 있는 거
  • 00:18:34
    같아서 친구들이랑 있는 것도 완전히
  • 00:18:37
    괜찮은게 아니라 잠깐이 아아 그래서
  • 00:18:40
    둘 다 그렇다고 생각이 들었던 거
  • 00:18:54
    같아요 어 활발하던 친구가 조용해졌다
  • 00:18:58
    거는 성격이 바뀌기 사람은 굉장히
  • 00:19:01
    어렵잖아요 그 친구가 평소에 무슨
  • 00:19:03
    고민거리가 있거나 그런 거 같아서 좀
  • 00:19:07
    위험하게
  • 00:19:08
    생각했어요 이게 제가 인터넷에서 한
  • 00:19:12
    글을
  • 00:19:13
    봤는데이 어떤 사람이 죽을 마음을
  • 00:19:16
    갖고 있으면 뭔가 다 내려놓은
  • 00:19:19
    기분이니까 나에게 가장 소중했던
  • 00:19:22
    사람들한테 자신의 뭔가를 기억해
  • 00:19:24
    주기를 바라면서 소중한 물건들을
  • 00:19:26
    나눠준다 이런 글을 완전 예전에 본
  • 00:19:29
    거 같은데 그거 그게 갑자기 생각나서
  • 00:19:32
    B 선택한 거
  • 00:19:45
    같습니다니까 그동안 고마웠다는 말이
  • 00:19:48
    그냥 뭐 한해를 끝내면서 고마웠다
  • 00:19:50
    그렇게 하면은 뭐 아름다운 마무리고
  • 00:19:52
    할 수 있는데 학기 저중에 그동안
  • 00:19:55
    고마웠어 하는 거면 약간 불길한
  • 00:19:57
    기분이 들 것 같아
  • 00:19:59
    요 내일 어제 안 왔으면 좋겠다는
  • 00:20:03
    그냥 안 살고 싶다라는 거를 표현한
  • 00:20:07
    거기 때문에 그래 더 위험하다고
  • 00:20:19
    생각했어 제 친구 얘긴데 제 친구가
  • 00:20:22
    저한테 고민 상담을 할 때 좀 힘든
  • 00:20:25
    일이 있었는데 저기가 밤에 잠이 너무
  • 00:20:27
    안 오고 밥이 잘 안 넘어간다
  • 00:20:29
    했거든요 그걸 좀
  • 00:20:31
    기억대로 뭔가 진짜 잠을 자고 싶은데
  • 00:20:34
    잠이 안 오고 배고픈데 밥이 안나봐
  • 00:20:36
    가는 거니까 좀 그게 더 위험하다고
  • 00:20:40
    생각했어요 나중 생각을 안 하고 그냥
  • 00:20:44
    지금만 엄청 즐겨 즐긴
  • 00:20:47
    다음에 뭔가 나중에 약간 나타나지
  • 00:20:51
    않을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얘가
  • 00:21:04
    저는 일단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 00:21:07
    물어볼 것 같아요
  • 00:21:10
    그다음에 그 이유에 대해서 너 나는
  • 00:21:14
    이렇게 생각하는데 너의
  • 00:21:16
    생각은 아닌 거 같아라고 말하고
  • 00:21:19
    긍정으로 심어주는
  • 00:21:22
    부정보다는 그것도 똑같이 편해질 것
  • 00:21:25
    같다 죽을 죽고 편해진
  • 00:21:29
    이런 거
  • 00:21:41
    같아서 어 일단 그 친구가 어떤 것
  • 00:21:44
    때문에 힘든지 아직 모르잖아요 그래서
  • 00:21:47
    그 친구한테 힘든 힘든 이유를
  • 00:21:48
    알아내서 그 힘든 이유에 대한 방안도
  • 00:21:50
    찾아주고 위로도 해주고 싶어서 그렇게
  • 00:21:52
    얘기했던 거
  • 00:21:54
    같아요
  • 00:21:57
    어저 교 1학년 때도 약간 그런
  • 00:22:00
    친구가 한 명 있었는데 그렇게
  • 00:22:03
    들어주고 나니까 애가 힘이 생겨
  • 00:22:06
    가지고음 그냥 힘들어 할 때는 되게
  • 00:22:10
    아무것도 듣지 않고 먼저 이렇게 좀
  • 00:22:13
    이해해 주려고 하는 것보다 그냥 다
  • 00:22:15
    듣고 이해해 주는게 더 좋다라고
  • 00:22:17
    생각을 해서 일단 다 듣고 왜 그런지
  • 00:22:19
    물어보고 거기에 대해서 조금 조언을
  • 00:22:21
    해 줄 거 같아서 그렇게 골랐어요
  • 00:22:31
    어 친구가 제가 좋아하는 친구가
  • 00:22:33
    없어진다는 건 가장 큰 고민
  • 00:22:35
    거리거든요 저희
  • 00:22:38
    그래가지고 지키기 위해서 어 제가
  • 00:22:42
    들어준다는 말을었던 거
  • 00:22:45
    같아요 왜 신경을 왜 안 써 이런
  • 00:22:48
    식으로 했던 거 같아요 그냥 그
  • 00:22:51
    친구가 그렇게 말안되는 무조건 이유가
  • 00:22:53
    있을 거라 생각을 하고 조금 뭔가
  • 00:22:56
    달래 줘야겠다 싶어서
  • 00:23:00
    저는 오히려 걔한테 뭔가 화가 날 것
  • 00:23:02
    같아요 나 나는 너한테 진심으로
  • 00:23:05
    대하고 있는데 얘는 나한테 진심으로
  • 00:23:08
    대하지 않으니까 오히려 화가 날 거
  • 00:23:19
    같아요
  • 00:23:21
    그냥 사람이
  • 00:23:24
    사람한테 괜찮냐고 물어보는게 모두
  • 00:23:27
    모두 다 괜찮지 않은데 괜찮다고
  • 00:23:30
    말하는 사람들이
  • 00:23:32
    많으니까 그냥 아무맛 없이 안아주는게
  • 00:23:35
    그 친구한테는 가장 큰 위로가 되지
  • 00:23:38
    않을까라는 생각이
  • 00:23:40
    들어서 못
  • 00:23:43
    버티겠어 누군가에게 의지할 힘이
  • 00:23:46
    필요하다는 건데 그러니까 제가 그
  • 00:23:48
    친구에 대해 의지할 수 있는 힘이
  • 00:23:51
    되어 주고 싶어서 그런 말을 했었던
  • 00:23:53
    거 같아요
  • 00:24:00
    [음악]
  • 00:24:02
    저한테 그런 말을 했다는 거
  • 00:24:04
    자체가 뭔가 말을 하려고 꺼내는 그런
  • 00:24:08
    밑밥을 깔아놓는 걸 수도 있으니까
  • 00:24:10
    저한테 그냥 편안하게 말하라고 그렇게
  • 00:24:11
    얘기를 해줬던 거
  • 00:24:12
    [음악]
  • 00:24:14
    같아 친구가 바로 옆에 이렇게 딱
  • 00:24:17
    있는데 이거를 말을 안 했다 아 일단
  • 00:24:21
    괜찮으니까 다
  • 00:24:22
    말해봐라 일단은 그렇게 말한 거
  • 00:24:24
    자체가 나 말고 다른 사람한테도
  • 00:24:27
    말했을 아니에요 나 있잖아 왜 그래
  • 00:24:30
    괜찮아
  • 00:24:32
    괜찮아 일단 공감해 주는 거에서
  • 00:24:36
    제일 제일 일단 제일 첫 번째로 해야
  • 00:24:39
    되고 제일 중요한게
  • 00:24:41
    경청이 그 친구가 말한다고 해도 안
  • 00:24:43
    들어
  • 00:24:44
    주면은 아무도 모른 채로 그 친구는
  • 00:24:48
    그런 고민이 있는데 저마저 안 들어
  • 00:24:51
    주면은 안 되겠다 생각이 들어서
  • 00:24:54
    [음악]
  • 00:25:33
    누군가 감기에 걸렸는데 혹시 이렇게
  • 00:25:36
    말하는 사람을 본 적 있나요 몸이
  • 00:25:39
    얼마나 약하면 감기나 걸려 감기는 왜
  • 00:25:41
    걸린 거야 아니면 좀 쉬워야 겠네
  • 00:25:45
    약은 먹었어 몸을 따뜻하게 하고 푹
  • 00:25:48
    쉬어야 될 거
  • 00:25:50
    같은데 우리는 감기에 걸린 사람을
  • 00:25:54
    비난하거나 판단하지 않습니다 그들이
  • 00:25:56
    아프다는 걸 알고 그 아픔을 덜어주기
  • 00:25:59
    위해
  • 00:26:00
    노력하죠 그렇다면 마음이 아픈
  • 00:26:03
    사람에게는 어떻게 되야 할까요 같은
  • 00:26:06
    원리가 적용될 수 있지 않을까요
  • 00:26:09
    비판하거나 판단하지 않기 위로와
  • 00:26:12
    공감으로
  • 00:26:13
    다가가기 그리고 무엇보다 그들의
  • 00:26:15
    이야기를 경청하는 겁니다 혹시 어디
  • 00:26:19
    아프지는 않아 나랑 이야기할 수
  • 00:26:21
    있을까 너무 힘들지 않 이건 네이
  • 00:26:24
    아니야 아는
  • 00:26:27
    말 내는 내가 되어보는 건
  • 00:26:32
    어떨까요 그런데 혹시 여러분
  • 00:26:37
    자신은 여러분은 감기에 걸렸을 때
  • 00:26:40
    어떤 방법을 선택하나요 어 일단은
  • 00:26:45
    따뜻한 물을 많이 마시고 푹 자는게
  • 00:26:48
    병원에 간다 일단은 병원 가서 진찰
  • 00:26:52
    받고 약 받는 거 꾸준히 먹고 나는
  • 00:26:56
    거예요 그럼 이렇게
  • 00:26:59
    해볼까요 이제는 나를 위해서 다정한
  • 00:27:03
    응원을 해보거나 나에게 칭찬을 해보는
  • 00:27:06
    건 어떨까요 한번 대상을 바꿔 볼게요
  • 00:27:11
    나 너무 힘든 거 같아 좀 힘들면
  • 00:27:14
    잠깐 쉬지 마 이건 내 잘못이 아니야
  • 00:27:17
    이겨내보자 버텨보자 이건 내 잘못이
  • 00:27:20
    아니야 나는 괜찮아 잘될 거야 네가
  • 00:27:24
    아무리 틀린 선택을 해왔다 해도 그건
  • 00:27:27
    경험이니까 말고 만보고
  • 00:27:30
    걸어가 누구나 감기에 걸릴 수 있고
  • 00:27:33
    누구나 그 아픔을 느낄 수 있어요
  • 00:27:36
    중요한건 우리 자신에게도 따뜻한
  • 00:27:38
    관심을 보내고 스스로를 돌보는 겁니다
  • 00:27:42
    그래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내 옆에
  • 00:27:44
    친구를 따뜻하게 보살피는 것 그리고
  • 00:27:47
    나 자신을 안아주는 것 그 작은 행동
  • 00:27:50
    하나가 우리의 마음을 더 건강게 들어
  • 00:27:57
    겁니다 감정이 있진 않나요 때론
  • 00:28:00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한 고민이
  • 00:28:02
    가슴속에 쌓여 있진 않나요 혹은 주변
  • 00:28:05
    친구가 무언가 힘들어 보이진
  • 00:28:08
    않나요 작은 변화라도 그것이 도움이
  • 00:28:11
    필요하다는 신호일 수
  • 00:28:16
    있습니다 그렇다면 망설이지 말고
  • 00:28:18
    연락해 보세요 따뜻한 한마디가 큰
  • 00:28:22
    힘이 될 수 있습니다 전화한 통 혹은
  • 00:28:25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서도 도움을 받을
  • 00:28:27
    수 있습니다
  • 00:28:28
    [음악]
  • 00:28:33
    우리는 태어나고 살아가죠 그리고
  • 00:28:36
    살아보니 살아가는게 쉽지만은 않은 거
  • 00:28:39
    같아요 그런데 말이죠 그 어려운 걸
  • 00:28:42
    지금 여러분이 해내고 있다는 사실
  • 00:28:43
    알고 있나요 혹시 이런 생각해본 적
  • 00:28:47
    있나요 살아간다는 건 무슨
  • 00:28:50
    의미일까음 너무 어렵다고요
  • 00:28:53
    그럼이이기를
  • 00:28:57
    들어볼래요 는 책을 쓴 빅터
  • 00:29:00
    프랭클은 삶의 의미가 있으면 우리는
  • 00:29:03
    살아갈 수 있다고
  • 00:29:06
    말했습니다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
  • 00:29:08
    이렇게 덧붙인 이화가 있습니다 네가
  • 00:29:11
    내 옆에 있어서 좋아 그 한마디가 그
  • 00:29:14
    사람에게 삶의 의미가 될 수 있다는
  • 00:29:17
    거예요 그러니까 삶의 의미를 거대하게
  • 00:29:20
    포장하지 않아도 돼요 내가 좋아하는
  • 00:29:22
    걸 하는 것 가족들과 즐거운 시간을는
  • 00:29:25
    것 가고 싶은 곳에 가는
  • 00:29:28
    [음악]
  • 00:29:29
    한 충분가 살아가는이 수
  • 00:29:33
    [음악]
  • 00:29:35
    있거든요 청소년 여러분 지금 여러분은
  • 00:29:38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의
  • 00:29:41
    삶은 정말정말
  • 00:29:43
    소중합니다
  • 00:29:46
    생명이란음 거창하게 말할 필요는 없을
  • 00:29:48
    것 같아요 살아가는 것 자체가 바로
  • 00:29:51
    생명입니다
  • 00:29:52
    [음악]
  • 00:29:57
    왔다갔다해
  • 00:29:59
    힘들구나 내가 좀 힘드네 하면서 잠시
  • 00:30:03
    멈추고 쉴 줄도
  • 00:30:04
    알아야죠 누가 뭐라든 스스로를 믿고
  • 00:30:08
    나를 아껴 주는게 가장
  • 00:30:11
    중요하니까요 생각보다 여러분은 훨씬
  • 00:30:14
    더 멋진
  • 00:30:15
    사람이고 지금이 순간도 충분히 잘하고
  • 00:30:19
    있어요 우리 함께 약속해
  • 00:30:21
    볼까요 오늘
  • 00:30:24
    하루도
  • 00:30:25
    내일도 한 걸음씩
  • 00:30:28
    살아가는 걸로
Tags
  • 자살
  • 청소년
  • 스트레스
  • 정신 건강
  • 고립
  • 경쟁
  • 우울증
  • 지원
  • 생명
  • 소중함